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Crystal Isles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평가 == [include(틀:평가/Steam, date=2022-10-09, code=1270830, rating=대체로 긍정적, percent=72, count=2\,423, rating2=매우 긍정적, percent2=83, count2=36)] 기존의 [[아크 라그|라그나로크]]보다도 더 넓은 면적 때문에 장단점이 엇갈리는 평이다. 장점이라면 맵이 넓고 다채로운 색감과 곳곳에 박힌 크리스탈 덕에 맵의 풍경 면에서는 호평을 받는다. 대체로 크리스탈 아일 맵을 비판하는 사람들도 맵에 자원이 다양한 것과, 같이 추가된 [[크리스탈 와이번]] 같은 생물의 성능이 좋다는 것은 인정하는 평이다. [[피오르두르]] 맵이 출시됨에 따라 몇몇 장점들이 가려지기는 했으나, 유기 폴리머나 유물 파밍 등 몇몇 자원에 있어서는 아직도 크리스탈 아일에서 채집하는 것이 효율이 좋은 경우가 적지 않아 굳이 들르지 않을 이유는 없다. 그 외에도 맵이 넓고, 그에 따라 평지 역시 넓어 터를 잡고 살거나 건축을 할만한 곳이 꽤나 많은 것과, 넓은 맵을 따라 대량의 생물이 스폰된다는 점 역시 장점으로 작용한다. 단점으로는 게임 플레이 면에서는 맵이 너무 넓어 빠른 날탈것이 없으면 이동이 힘들다는 점이 지적된다. 물론 면적상으로만 보면 [[아크 라그|라그나로크]]와 별로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플레이어가 잘 돌아다닐만한 육지 부분의 비율이 훨씬 더 넓어 체감상으로는 더 넓게 느껴진다. 이는 본 맵에 같이 추가된 [[크리스탈 와이번]]과 [[트로페오그나투스(ARK: Survival Evolved)|트로페오그나투스]], 추가는 아니지만 많이 스폰되는 [[그리핀(ARK: Survival Evolved)|그리핀]]의 이동 속도면 충분히 돌아다닐 수 있는 면적이다. 그 외에 지적된 것으로는 [[락 드레이크]]나 [[리퍼(ARK: Survival Evolved)|리퍼]] 등 몇몇 확장팩 생물들의 칼질과, 칼질한 뒤 남은 스폰 장소가 텅텅 비어있다는 점이다. 예시로 하늘섬은 락 드레이크의 둥지였으나, 이를 전부 자르고 따로 채우지를 않아 해당 구역은 아무 것도 스폰되지 않아 묘한 공허함을 느낄 수 있다. 다만 칼질과는 별개로 남은 공간에 아무것도 없어 PvP 집터로 숨어살기 좋다는 평이 존재해 호불호가 갈린다고 보면 될 듯. 생물의 밀도와 관련해서는 일반 필드 역시도 밀도가 적어 고기 채집이 타 맵에 비해서 효율이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으나, 오히려 반대되는 의견도 있기에 이 부분은 개인적인 차이로 볼 수 있을 듯 하다. 다만 주요 생물들의 칼질도 칼질이지만 [[크리스탈 와이번]]을 제외한 고유 생물종을 잘라버린 것은 크리스탈 아일 맵에 대한 호불호와 관계없이 실책으로 평가된다. 기껏 남은 거대 일벌의 경우에도 그냥 벌집 동굴 내에서만 스폰되는 조련 불가의 잡몹으로 만들어버렸고,[* 모드에서는 조련이 가능했고, 스폰 범위도 더 넓었다.] 크리스탈 그리핀을 비롯한 모든 크리스탈과 액화 원소 생물들은 싸그리 잘려버렸다. 비슷하게 칼질을 당했던 [[발게로]]의 경우에는 유료 확장팩 생물들이라 판매량 감소를 생각할 수는 있지만 해당 생물들은 대부분이 바닐라와 무료 DLC 생물들을 기반으로 함[* 물론 잘린 고유 생물 중 '그레이트 엠버트로스' 는 스코치드 어스의 고유 생물인 불새와 이름과 조련 방식을 제외하면 거의 같은 생물이기는 하다.]에도 불구하고 잘라버렸다. 이후에 출시된 [[피오르두르]]의 경우 아예 독자적인 모델을 가지고 있는 생물인 펜리르가 잘리지 않고 그대로 남아서 더더욱 비교되는 부분이다.[* 이와 관련하여 개발자 ComplexMinded는 '크리스탈 아일에서는 모드 생물이 남아있지 않았지만 피오르두르에서는 남아있다' 는 말을 하였는데, 사실상 후속 패치로 추가될 가능성도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호불호 요소로는 맵 특유의 고채도 색감인데, 다른 맵에 비해서 화려하고 다채로운 색감을 가지고 있다는 평이 있는 반면 채도가 너무 강해 눈아프다는 불호의 평도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